칼럼/강좌

진료시간안내

CONSULTATION HOUR

  • 평일 08:30 ~ 18:00
  • 토요일 08:30 ~ 15:00
  • 평일/점심 13:00 ~ 14:30
  • 토/점심 13:00 ~ 14:00
  • 일/공휴일 휴진

전화상담문의

  • 031-463-5592
  • FAX. 031-463-5593

칼럼

  • 칼럼/강좌
  • 칼럼

제목

쌀에는 카드뮴, 화장품에는 납...일상 속 노출되는 ‘중금속’ 5

image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금속. 중금속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부지불식간에 노출되는 현실이다. 주요 중금속 5가지의 노출 경로와 중독 증상을 소개한다.1. 비소비소는 개미살충제, 쥐약, 제초제, 살충제, 페인트, 목재 보존제 및 세라믹 등에 함유되어 있다. 또, 합금 생산, 가축 먹이, 약품 등에도 사용된다.잘만 쓰이면 약이 되는 비소는 순식간에 독으로 바뀔 수 있다. 산업현장에서 많이 발생하는 비소가스 중독은 비소를 함유한 금속에 산이나 물이 첨가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비소는 소화기계와 폐에서 쉽게 흡수된다. 체내로 들어온 비소는 24시간 이내에 체내 모든 조직에 분포된다. 이후 산화되거나 유기 비소화합물로 변한 후 주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그러나 일부는 소변으로 배설되지 않고 뼈, 손톱, 피부 및 모발 등에 오랫동안 남는다.많은 양의 비소에 노출되면 1시간 이내에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 소화기계 증상과 저혈압 등이 발생하는 급성 중독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만성 중독은 다양한 피부과적 징후를 동반하며 과색소 침착이 발생한다.2. 알루미늄국수, 당면, 탄산음료 등의 식품을 통해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알루미늄의 양은 하루 5~10mg이다. 정상인에서는 전부 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돼 소변으로 배출되는 양이다. 그러나 신장 기능이 좋지 않은 신부전 환자들에서는 알루미늄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은 투석을 받아도 알루미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한다. 신부전 환자들은 과도한 인(p) 축적을 막기 위해 알루미늄이 함유된 겔을 경구로 섭취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이 중 일부가 흡수돼 알루미늄이 축적될 수도 있다.알루미늄은 뼈나 뇌, 근육, 비장 등에 축적돼 뼈가 잘 부러지게 하거나 성장을 지연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3. 카드뮴카드뮴은 전기도금, 충전지 생산, 유기농 페인트 염료, 담배에 사용된다. 특히, 보호장비 없이 유기농 페인트를 분사하면 카드뮴에 만성으로 노출된다. 자동차수리공은 카드뮴 노출 가능성이 큰 직업군 중 하나다.직업적인 노출이나 흡연을 하지 않는 사람은 주로 농작물을 통해 카드뮴에 노출된다. 쌀 등의 곡류, 상추, 시금치 등의 잎채소를 통해서다.카드뮴 중독도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전형적인 소견은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하는 단백뇨를 동반한 신장 기능 이상이다.4. 수은수백 년 전부터 의학적, 산업적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돼 온 수은은 유기수은과 무기수은 형태로 존재한다. 무기수은은 원소수은과 수은염으로 나뉜다. 원소수은은 온도계, 혈압계, 기압계 등에 사용돼 우리에게 노출된다. 수은염은 원반 건전지 복용이나 완화제 남용 등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원소수은은 주로 흡입을 통해 체내에 흡수되고, 중추신경계에 축적되기 때문에 호흡기계와 중추신경계, 그리고 신장에서 주된 독성이 발생한다. 수은염은 주로 소화기계를 통해 흡수된다. 이로써 소화기계 독성을 유발하고 급성 신세뇨관손상과 사구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수은에 가장 빈번히 노출되는 경우는 참치, 삼치와 같은 포식성 생선을 먹을 때다. 수은은 동물의 몸에 들어가면 거의 배출되지 않고 몸속에 계속 쌓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최종 포식성 생선에는 막대한 양의 수은이 축적되어 있을 수 있다.따라서 수은에 민감한 사람은 생선의 종류와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안전하다. 임신 및 수유 기간에는 일반 어류와 참치통조림은 일주일에 400g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다랑어, 새치류, 상어류는 일주일에 1번, 100g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납납은 페인트 안료, 도자기 유약, 포장지, 어린이 장난감, 마스카라와 파마약 등의 화장품, 그림물감과 지우개 등의 학용품, 건전지, 수도관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주로 분진이나 증기 상태로 흡입하거나 섭취함으로써 체내 흡수되며, 1일 0.5mg 이상 흡수하면 독성이 나타난다. 납은 중금속 중,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가장 심각한 독성을 나타낸다. 급성 독성은 주로 중추신경계 증상과 급성 복통 등의 소화기계 증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급성 독성은 드문 편이고, 혈액, 연조직, 뼈에 납이 축적되는 만성 독성이 더 흔하게 발생한다. 뼈는 납이 가장 많이 축적되는 곳이다.만성 독성은 전신쇠약, 체중 감소, 식욕 감소, 변비 등의 다양한 전신증상과 권태감, 졸림, 혼미, 발작 등을 동반하는 납뇌병증, 손목 처짐, 발목 처짐 등의 말초신경병증 등을 동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