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물 오르고 속 쓰림 계속된다면 식도내압 검사 [알고 받는 건강검진]
◇ 식도내압 검사 한 줄 요약가느다란 관을 식도에 삽입해 식도 연동운동 및 식도 괄약근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다.◇ 어떤 검사인가요검사 6시간 전부터 금식해야 하며, 음주와 흡연 역시 24시간 동안 금해야 한다. 검사 하루 전에는 식도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비약이나 장운동 촉진제, 신경안정제 복용도 피해야 한다.직경 5mm의 가느다란 관을 코를 통해 식도까지 삽입하는 방식이다. 삽입 후 모니터로 그래프를 보면서 식도의 연동운동을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구역질이나 기침, 목 불편감 등을 느낄 수 있다. 의료진의 설명에 따라 긴장을 풀고 심호흡을 유지하며 목에 힘을 빼면 더 쉽게 관을 삽입할 수 있다.◇ 누가, 언제 받아야 하나요가슴 쓰림이나 산 역류를 동반하는 위식도역류질환이 의심될 때, 내시경 검사나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등과 함께 식도내압 검사를 시행한다. ◇ 식도내압 검사 결과- 정상 소견·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LES): 10~45mmHg"식도내압이 정상이에요."하부식도괄약근이 지속적인 긴장도를 유지해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해 연동운동이 잘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이상 소견·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LES): 10mmHg 이하
"식도내압이 낮아요."위산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는 의미다. 심한 역류질환 환자의 경우 LES압력이 매우 낮게 나타난다.
- 이상 소견·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LES): 45mmHg 이상
"식도내압이 높아요."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음식물이 위장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식도에 머무는 식도이완불능증을 의심할 수 있다. 식도 체부 연동운동이 소실되고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의 이완 부전이 함께 나타나면, 식도이완불능증으로 확진한다.식도 체부는 정상 연동운동을 보이지만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이 높다면, 고압성 하부식도괄약근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식도 체부는 정상 연동운동을 보이나 하부 식도의 진폭이 160mmHg 이상이면, 식도 내부 압력이 매우 높은 상태인 호두까기 식도로 의심할 수 있다.
감수 = 하이닥 상담의사 이승화 과장 (성남시의료원 가정의학과 전문의)